[멋쟁이사자] 백엔드 - 34일차 회고록
34일차
학습 목표
- Java의 Socket과 ServerSocket을 활용하여 기본적인 TCP 통신 구조를 설계하고 구현할 수 있다.
- 멀티 클라이언트 처리를 위한 스레드 기반의 서버 구조를 설계할 수 있다.
- 자바의 InetAddress 및 포트, IP 기반 주소 체계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 객체 직렬화를 통한 소켓 기반 객체 전송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소켓 통신과 TCP 구조
소켓 통신의 경우 스레드와 비슷하게 어느정도의 이론만 알고있고 깊숙하게는 알지 못했었다.
이번 기회에 소켓 통신과 TCP, UDP의 차이점을 인지하고 사용할 줄 알게 되었다.
아래 글로 자세하게 정리해뒀다.
https://lold2424.tistory.com/245
[JAVA] 소켓 통신의 기본 개념과 구조
Java에서는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하도록 java.net 패키지를 통해 TCP/IP 기반 소켓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이번 글에서 TCP 기반의 소켓과 서버소켓을 사용한 1:1 구조를 알아보도록 하겠다.소켓 통신이
lold2424.tistory.com
멀티 클라이언트 서버 구현과 스레드 구조
소켓 통신을 통해 1:1 구조는 이해를 했지만 이는 사용자가 1명일 경우에나 적용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많은 실제 서비스의 경우에는 멀티 클라이언트를 사용한다고 한다.
멀티 클라이언트 구조와,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해 학습했다.
https://lold2424.tistory.com/246
[JAVA] 멀티 클라이언트 서버 구현과 스레드 구조
들어가기 앞서우선 소켓 통신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소켓 통신에 대해 잘 모른다면 아래 글을 읽으면 된다.https://lold2424.tistory.com/245 [JAVA] 소켓 통신의 기본 개념과 구조Java에서는 네트워크 통
lold2424.tistory.com
네트워크 주소 체계와 InetAddress 활용
네트워크는 서로를 식별할 주소(IP)와 해당 주소에서 어떤 프로그램과 통신할지를 지정해주는 포트 번호가 존재한다.
이 중에서 IP를 다루는 자바 클래스가 따로 있으며, 이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학습했다.
https://lold2424.tistory.com/247
[JAVA] 네트워크 주소 체계와 InetAddress 활용
네트워크 주소 체계란?네트워크 통신을 위해서는 서로를 식별할 주소(IP)와 해당 주소에서 어떤 프로그램과 통신할지를 지정해주는 포트 번호가 필요로한다.주소 체계설명IP 주소인터넷상에서
lold2424.tistory.com
객체 직렬화를 통한 네트워크 전송
직렬화는 자바에서만 사용하는 문법이다.
JSON만 알고 있었는데 자바에서는 직렬화를 통한 객체 전송이 가능하다는것을 새롭게 배웠다.
직렬화의 경우 JSON보다 빠르지만, 그에 상응하는 단점과 문제점이 많다는것을 알았다.
사실 요즘 JSON이 사용되는 빈도가 늘어나는 추세라서 직렬화에 대해 굳이? 란 생각이 든다.
하지만, 실무에서는 직렬화를 사용할 수 있으니 어떻게 사용해야하는지는 알아둬야겠다.
https://lold2424.tistory.com/248
[JAVA] 객체 직렬화를 통한 네트워크 전송
들어가기 앞서객체 직렬화와 네트워크 전송에 대해 이해하려면 소켓 통신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만약 소켓 통신에 대해 모른다면 아래 글을 참고하면 된다.https://lold2424.tistory.com/245 [JAVA] 소켓
lold2424.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