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트캠프

[멋쟁이사자] 백엔드 - 19일차 회고록

planting grass 2025. 3. 28. 16:16
728x90

19일차

학습목표

  1. 테이블의 연관 관계를 이해하고 관계를 식별할 수 있다. 다중 테이블 ERD, 주종관계 (악한주종관계, 강한 주종관계)도 삭제된다.
  2. SELECT, LIKE 문장과 정규패턴의 다른점을 활용해서 원하는 속성을 찾을 수 있다.
  3. 집계함수의 옵션을 통해서 조건구문을 간략하게 구성할 수 있다.
  4. 문자함수, 날짜 함수, 숫자 함수등을 활용해서 속성을 변형한 값을 리턴받을 수 있다.

SELECT, LIK에 정규식 적용하기

JAVA에서 정규식을 사용하는것처럼 SQL에도 정규식이 있다.

정규식을 사용하면 LIKE만으로 표현이 불가능한 조건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건 분기를 줄여서 코드의 가독성을 향상시켜준다.

정규식의 자세한 내용은 아래 정리해뒀다.

https://lold2424.tistory.com/201

 

[DB] SQL - 정규표현식 (SELECT, LIKE)

정규표현식이란?특정한 규칙을 가진 문자열의 집합을 표현하는 언어로 문자열에서 패턴을 찾거나, 일치 여부를 검사하거나, 일부를 치환할 때 사용한다.즉,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문자”를

lold2424.tistory.com

집계 함수와 조건 구문

집계 함수를 사용하면 보다 데이터를 요약하거나, 통계로 분석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조건이 많이 붙을 경우에는 쿼리가 복잡해지고, 단일 쿼리로는 처리가 불가능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를 조건 구문을 사용하면 해결할 수 있다.

내용 정리는 아래 블로그에 해뒀다.

https://lold2424.tistory.com/202

문자, 숫자, 날짜 함수로 속성 변경하기

SQL에서는 단순히 데이터를 조회하는 것뿐만 아니라, 문자열을 자르거나, 숫자를 계산하거나, 날짜를 포맷하는 등
속성 값을 유동적으로 변형하여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것이 문자 함수 / 숫자 함수 / 날짜 함수이다.

아래 내용을 정리해뒀다.

https://lold2424.tistory.com/203

 

금일은 기본 문법에 정규식, 조건 구문, 함수의 속성 변경 등 조금 더 퀄리티 높은 코드를 작성하는 함수들에 대해 배웠다.

회차가 거듭될수록 기본 문법에서 고급 쿼리로 확장되고 있다.

아직은 따라가는데 별 문제는 없다만, 추후 더 많은 내용을 학습하면 헷갈릴거 같다.

오늘 학습 내용을 통해 데이터를 단순 조회하는것에서 가공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배웠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