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백준 문제풀이

[Baekjoon 1431] 시리얼 번호 - JAVA

728x90

[Silver III] 시리얼 번호 - 1431

문제 링크

성능 요약

메모리: 14260 KB, 시간: 124 ms

분류

정렬

문제 설명

다솜이는 기타를 많이 가지고 있다. 그리고 각각의 기타는 모두 다른 시리얼 번호를 가지고 있다. 다솜이는 기타를 빨리 찾아서 빨리 사람들에게 연주해주기 위해서 기타를 시리얼 번호 순서대로 정렬하고자 한다.

모든 시리얼 번호는 알파벳 대문자 (A-Z)와 숫자 (0-9)로 이루어져 있다.

시리얼번호 A가 시리얼번호 B의 앞에 오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1. A와 B의 길이가 다르면, 짧은 것이 먼저 온다.
  2. 만약 서로 길이가 같다면, A의 모든 자리수의 합과 B의 모든 자리수의 합을 비교해서 작은 합을 가지는 것이 먼저온다. (숫자인 것만 더한다)
  3. 만약 1,2번 둘 조건으로도 비교할 수 없으면, 사전순으로 비교한다. 숫자가 알파벳보다 사전순으로 작다.

시리얼이 주어졌을 때, 정렬해서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기타의 개수 N이 주어진다. N은 50보다 작거나 같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시리얼 번호가 하나씩 주어진다. 시리얼 번호의 길이는 최대 50이고, 알파벳 대문자 또는 숫자로만 이루어져 있다. 시리얼 번호는 중복되지 않는다.

출력

첫째 줄부터 차례대로 N개의 줄에 한줄에 하나씩 시리얼 번호를 정렬한 결과를 출력한다.

문제 풀이

주어진 문제는 시리얼 번호를 정렬하는 문제다. 주어진 조건에 따라 시리얼 번호를 정렬하는 방법을 구현하면 된다.

  1. 입력값 받기
    • 첫 번째 줄에는 기타의 개수 N을 입력는다.
    • 두 번째 줄부터 N개의 줄에 시리얼 번호를 입력받는다.
    • 시리얼 번호 정렬
  2. 입력받은 시리얼 번호들을 리스트에 저장한다.
    • Collections.sort() 메서드를 사용하여 리스트를 정렬한다.
    • 정렬 기준은 Comparator를 사용하여 구현한다.
  3. Comparator<String>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익명 클래스를 생성한다.
    • compare() 메서드를 재정의하여 시리얼 번호를 비교하고 정렬 기준을 적용한다.
    • 두 시리얼 번호의 길이가 다르면, 짧은 것이 먼저 온다.
    • 길이가 같을 경우, 모든 자리수의 합을 비교하여 작은 합을 가지는 것이 먼저 온다.
    • 모든 자리수의 합도 같을 경우, 사전순으로 비교한다. 숫자가 알파벳보다 사전순으로 작다.
  4. 정렬된 시리얼 번호 출력
    • 정렬된 리스트 순서대로 시리얼 번호를 출력한다.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Collections;
import java.util.Comparator;
import java.util.List;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int numItems = Integer.parseInt(br.readLine());

        List<String> itemList = new ArrayList<>();

        for (int i = 0; i < numItems; i++) {
            itemList.add(br.readLine());
        }

        Collections.sort(itemList, new Comparator<String>() {

            @Override
            public int compare(String str1, String str2) {
                if (str1.length() == str2.length()) {
                    int sum1 = sumDigits(str1);
                    int sum2 = sumDigits(str2);
                    if (sum1 == sum2) {
                        return str1.compareTo(str2);
                    } else {
                        return sum1 - sum2;
                    }
                } else {
                    return str1.length() - str2.length();
                }
            }

            private int sumDigits(String str) {
                int sum = 0;
                for (int i = 0; i < str.length(); i++) {
                    int digit = str.charAt(i) - '0';
                    if (digit >= 0 && digit <= 9) {
                        sum += digit;
                    }
                }
                return sum;
            }
        });

        for (int i = 0; i < itemList.size(); i++) {
            sb.append(itemList.get(i)).append("\n");
        }

        System.out.println(sb);
    }
}

코드 풀이

        int numItems = Integer.parseInt(br.readLine());

        List<String> itemList = new ArrayList<>();

        for (int i = 0; i < numItems; i++) {
            itemList.add(br.readLine());
        }

입력받을 변수로 numItems를 선언한다.

List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ArrayList 클래스를 사용해 문자열을 저장할 수 있는 itemList 리스트를 생성한다.

numItems 변수의 값에 따라 반복문이 실행된다.

br.readLine()을 통해 입력받은 값을 itemList에 문자열을 추가한다.

        Collections.sort(itemList, new Comparator<String>() {

            @Override
            public int compare(String str1, String str2) {
                if (str1.length() == str2.length()) {
                    int sum1 = sumDigits(str1);
                    int sum2 = sumDigits(str2);
                    if (sum1 == sum2) {
                        return str1.compareTo(str2);
                    } else {
                        return sum1 - sum2;
                    }
                } else {
                    return str1.length() - str2.length();
                }
            }

Collections 클래스의 sort 메서드를 사용해 itemList를 정렬한다.

정렬 기준은 Comparator 인터페이스를 익명 클래스 형태로 구현한다.

Comparator 인터페이스의 compare 메서드를 재정의하는 기준으로 str1str2 두 개의 문자열을 비교하여 정렬 순서를 결정한다.

두 문자열의 길이가 동일한 경우 str1 문자열의 각 자리 숫자의 합을 계산하는 sumDigits 메서드를 호출해 그 결과를 sum1 변수에 저장한다.

str2 문자열의 각 자리 숫자의 합을 계산하는 sumDigits 메서드를 호출하여 그 결과를 sum2 변수에 저장한다.

두 문자열의 자리 숫자 합이 동일한 경우, 두 문자열을 사전식으로 비교하여 정렬 순서를 결정한다.

자리 숫자 합이 다른 경우, 합이 작은 순서대로 정렬한다.

두 문자열의 길이가 다른 경우, 길이가 짧은 순서대로 정렬한다.

            private int sumDigits(String str) {
                int sum = 0;
                for (int i = 0; i < str.length(); i++) {
                    int digit = str.charAt(i) - '0';
                    if (digit >= 0 && digit <= 9) {
                        sum += digit;
                    }
                }
                return sum;
            }
        });

문자열의 각 자리 숫자의 합을 계산하는 sumDigits 메서드를 정의한다.

문자열의 각 문자를 숫자로 변환하여 합을 계산한다.

        for (int i = 0; i < itemList.size(); i++) {
            sb.append(itemList.get(i)).append("\n");
        }

        System.out.println(sb);

정렬된 itemList의 각 문자열을 반복하여 sb라는 StringBuilder에 추가한다.

각 문자열 사이에 (\n)를 추가하여 줄 바꿈을 해준다.

sb에 저장된 문자열을 출력한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