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lver I] 정수 삼각형 - 1932
성능 요약
메모리: 27212 KB, 시간: 296 ms
분류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문제 설명
7
3 8
8 1 0
2 7 4 4
4 5 2 6 5
위 그림은 크기가 5인 정수 삼각형의 한 모습이다.
맨 위층 7부터 시작해서 아래에 있는 수 중 하나를 선택하여 아래층으로 내려올 때, 이제까지 선택된 수의 합이 최대가 되는 경로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아래층에 있는 수는 현재 층에서 선택된 수의 대각선 왼쪽 또는 대각선 오른쪽에 있는 것 중에서만 선택할 수 있다.
삼각형의 크기는 1 이상 500 이하이다. 삼각형을 이루고 있는 각 수는 모두 정수이며, 범위는 0 이상 9999 이하이다.
입력
첫째 줄에 삼각형의 크기 n(1 ≤ n ≤ 500)이 주어지고, 둘째 줄부터 n+1번째 줄까지 정수 삼각형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합이 최대가 되는 경로에 있는 수의 합을 출력한다.
문제풀이
DP 문제이기 때문에 점화식이 중요하다.
점화식은 d[i][j] = Math.max(d[i - 1][j - 1], d[i - 1][j]) + a[i][j]
이다.
점화식을 구하는 과정은 아래와 같다.
여기서 d[i][j]는 i번째 행의 j번째 열까지의 경로 중 선택된 수의 합의 최댓값을 나타낸다. a 배열은 입력으로 주어진 정수 삼각형을 저장한 배열이며, d 배열은 최댓값을 저장하기 위한 배열이다.
이 점화식은 현재 위치 (i, j)에서 이전 행의 대각선 왼쪽 값 d[i-1][j-1]와 대각선 오른쪽 값 d[i-1][j] 중에서 큰 값을 선택하고, 현재 위치의 숫자 a[i][j]를 더한 것을 d[i][j]로 설정한다. 이를 통해 각 위치까지의 최댓값을 계산할 수 있다.
문제에서는 아래층에 있는 수는 현재 층에서 선택된 수의 대각선 왼쪽 또는 대각선 오른쪽에 있는 것 중에서만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위치 (i, j)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이전 행의 대각선 왼쪽 값 d[i-1][j-1] 또는 대각선 오른쪽 값 d[i-1][j] 중 더 큰 값을 선택해야 한다.
즉, (i, j) 위치까지의 최댓값은 바로 위의 두 값 중 큰 값에 현재 위치의 숫자 a[i][j]를 더한 것이다. 이를 계속해서 각 위치마다 반복하면 최종적으로 맨 아래층까지 도달했을 때의 최댓값을 구할 수 있다.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int d[][] = new int[n + 1][n + 1];
int a[][] = new int[n + 1][n + 1];
for (int i = 1; i <= n; i++)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for (int j = 1; j <= i; j++) {
a[i][j]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
for (int i = 1; i <= n; i++) {
for (int j = 1; j <= n; j++) {
d[i][j] = Math.max(d[i - 1][j - 1], d[i - 1][j]) + a[i][j];
}
}
int ans = 0;
for (int i = 1; i <= n; i++) {
if (ans < d[n][i]) ans = d[n][i];
}
System.out.println(ans);
}
}
코드 풀이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int d[][] = new int[n + 1][n + 1];
int a[][] = new int[n + 1][n + 1];
입력을 저장할 변수 n을 만들어준다.
d는 경로의 최댓값을 저장하기 위한 배열이고, a는 주어진 삼각형 배열의 값을 저장하기 위한 배열이다.
for (int i = 1; i <= n; i++)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for (int j = 1; j <= i; j++) {
a[i][j]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
i가 현재 삼각형의 열 번호를 나타내는 for문이다.
j가 현재 삼각형의 열 번호를 나타내는 for문이다.
이전 단계를 통해 주어진 삼각형 배열의 값들이 a 배열에 저장한다.
for (int i = 1; i <= n; i++) {
for (int j = 1; j <= n; j++) {
d[i][j] = Math.max(d[i - 1][j - 1], d[i - 1][j]) + a[i][j];
}
}
i가 현재 삼각형의 행 번호를 나타내는 for문이다.
j가 현재 삼각형의 행 번호를 나타내는 for문이다.
현재 위치인 d[i][j]에 이전 행에서 선택 가능한 경로 중 최댓값을 선택하고, 현재 위치의 값 a[i][j]를 더해 저장해서 현재 위치까지의 최댓값으로 바꿔준다.
int ans = 0;
for (int i = 1; i <= n; i++) {
if (ans < d[n][i]) ans = d[n][i];
}
최종적으로 출력할 최댓값을 저장할 ans 변수를 0으로 초기화해서 생성한다.
i가 현재 삼각형의 열 번호를 나타내는 for문이다.
d[n][i]는 마지막 행에서 각 열까지의 경로 중 최댓값이다. 현재까지의 최댓값 ans보다 d[n][i]가 더 크다면, ans 값을 d[n][i]로 바꿔준다.
최종적으로 구한 최댓값 ans를 출력한다.
'백준 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Baekjoon 2822] 점수 계산 - Java (0) | 2023.05.23 |
---|---|
[Baekjoon 15802] 타노스 - JAVA (0) | 2023.05.21 |
[Baekjoon 2331] 반복수열 문제풀이 - JAVA (0) | 2023.05.18 |
[Baekjoon 1717] 집합의 표현 문제 풀이- JAVA (0) | 2023.04.02 |
[Baekjoon 1107] 리모컨 문제풀이 - JAVA (0) | 2023.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