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Git은 2005년, 리누스 토르발스가 리눅스 커널 개발을 위해 만든 분산형 버전 관리 시스템(VCS)이다.
Git이 나오게 된 계기는 아래와 같다.
리눅스 커널 개발팀이 BitKeeper를 사용하다가 라이선스 문제로 사용이 중단된다.
이에 리누스가 직접 빠르고 강력한 새로운 버전 관리 시스템을 개발 → Git이 탄생한다.
git 사이트에 들어가면 아래처럼 나와있다
Git is a free and open source distributed version control system designed to handle everything from small to very large projects with speed and efficiency.
직역하면 아래와 같다.
Git은 빠르고 효율적으로 작은 프로젝트부터 대규모 프로젝트까지 모든 것을 처리하도록 설계된 무료 오픈 소스 분산형 버전 제어 시스템 입니다.
즉, 분산형 버전 제어 시스템이란 것이다.
이말은 여러 명이 하나의 프로젝트를 개발할 때, 소스코드의 변경 내역을 추적하고 관리하여 버전을 관리할 수 있는 도구라는 뜻이다.
깃은 빠른 속도와 분산 저장소를 통한 안정적인 관리, 브랜치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사용할 수 있다.
Github
하지만, git 자체만으로는 강력한 버전 관리 도구지만, 처음 접하는 사람들에게는 명령어가 어렵고, 협업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래서 2008년, 개발자 Tom Preston-Werner, Chris Wanstrath, PJ Hyett 등이 Git을 더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웹 기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GitHub를 만들면서 github가 등장하게 되었다.
Github는 저장소 관리, Pull Request & Issue 와 같은 기능을 선보였고 이에 오픈소스 프로젝트 기여에 활성화했다고 볼 수 있다.
요약하자면, Git은 Github가 없어도 사용할 수 있는 버전 관리 도구지만, Github는 Git이 없으면 사용할 수 없는 플랫폼이다.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branch 이해하기 (0) | 2025.03.07 |
---|---|
[GitHub] Repository를 Private / Public으로 변경하는 방법 (0) | 2024.10.02 |
[Git] 자주 사용하는 Git 코드들 (0) | 2023.12.03 |